수소에도 색깔이 있다고?

지금은 전 세계가 하나의 목표를 지향해야 하는 시기입니다. 그 목표는 바로 지구 온난화를 벗어나기 위한 '탄소중립'인데요.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수소가 대체 청정에너지로 뜨고 있습니다. 그런데, 수소에도 색깔이 있다고 합니다. 눈에 보이는 색이 아니라 수소 생산방식에 따라 색깔로 지칭하고 있습니다.

친환경 에너지 수소

수소는 산소와 화학반응을 일으켜 전기를 발생시킵니다. 이 때 배출되는 부산물은 순수 물이기 때문에 환경오염에 걱정이 없는 에너지원입니다.

 

그런데 말입니다!

수소 자체는 청정 에너지가 맞지만 수소를 만드는 방법에 따라 환경오염 물질을 배출하는 정도가 달라집니다. 즉 얼마나 친환경적으로 수소를 생산하느냐에 따라 색으로 구분합니다. 친환경성 순서대로 그레이(grey), 블루(blue), 그린(green) 수소로 불립니다.

 

그레이 수소

회색인 그레이 수소는 단어 느낌처럼 친환경성이 가장 약합니다. 화석연료를 이용해서 수소를 생산하기 때문인데요. 수소를 얻기 위해 탄소를 만들어 낸다? 웃긴 상황입니다. 수소 1kg을 생산하기 위해 이산화탄소가 10kg이 생긴다고 합니다.

 

블루 수소

그레이 수소보다 조금 더 친환경적인 블루 수소는 이산화탄소를 대기로 내보내지 않고 포집 및 저장하기 때문에 블루라는 색이 붙었습니다. 아직 기술적인 부족으로 100% 이산화탄소를 포집하진 못 하지만 그레이 수소보다 탄소 배출이 작기 때문에 현재로썬 가장 현실적인 방법이라고 합니다.

 

그린 수소

마지막 그린 수소는 색깔 이미지 그대로 오염물질 배출이 전혀 없는 수소입니다. 태양광, 풍력 등 신재생 에너지로 수소를 만들기 때문에 이산화탄소 배출이 0%입니다. 세계 각 도처에 신재생 에너지 인프라가 갖춰진다면 그린 수소 생산도 머지않은 미래에 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상 수소(그레이, 블루, 그린)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