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금 vs. 적금 금리 수치적 비교
- 카테고리 없음
- 2023. 11. 20.
오늘 '예금 4%, 적금 8% 금리.. 뭐가 이자가 많나요?'란 기사가 있었습니다. 어떻게 계산되는지 확인하여 수치적으로 확인해 보겠습니다. 1년 기준으로 12,000,000 원(1,200만원)을 예금 혹은 적금으로 은행에 맡기는 것을 가정하고 적금은 복리로 계산하겠습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03/0012218442
예금 4%, 적금 8% 금리…뭐가 이자 많나요[금알못]
은행에서 이자를 받는 상품으로는 크게 예금과 적금이 있습니다. 정기예금은 만기까지 자금을 예치하고, 적금은 일정 기간 단위로 나눠서 넣는다는 차이가 있죠. 각 은행들은 다양한 예금과 적
n.news.naver.com
예금 금리 계산
예금 이자 계산은 간단합니다. 12,000,000 x 4%(0.04)를 계산하면 이자가 480,000 원(48만원)이 됩니다. 그런데 이자에는 세금이 붙습니다. 15.4%로 480,000 x 0.154(15.4%) = 73,920원입니다. 실제로 받게 되는 금액은 원금을 더해서 12,000,000 + 480,000 - 73,920 = 12,406,080 원(1,240 만원 정도)이 됩니다.

적금 금리(복리) 계산
복리 적금은 조금 복잡한데 어렵진 않습니다. 다달이 계산해야 하기 때문에 이자는 연간 금리에 나누기 12를 하고 원금을 곱해서 산정합니다. 8% / 12 는 0.667%(0.00667)가 나오네요. 또 복리는 원금에 이자를 더해서 금리를 계산하므로 이번 달 원금은 지난 달 산정된 이자가 포함이 됩니다.

실수령액을 계산하면원 12,450,855 원(1,245 만원 정도)이 나왔습니다.

1년 1,200 만원을 기준으로 예금과 복리 적금 이자(금리)를 비교하면 적금이 예금보다 4만 5천 원 정도 많습니다.
예금과 적금 중 위 처럼 계산해서 어느게 더 유리할 지 비교해 볼 수 있겠습니다. 예를 든 엑셀도 첨부했으니 활용해 보시기 바랍니다.